비아토의 성장하는 삶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비아토의 성장하는 삶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삶의 지혜를 얻는 책 (영감의 샘)
    • 감동하는 일상 (울림을 주는 순간들)
    • 건강한 생활 습관 (몸도 튼튼, 마음도 튼튼)
    • 생각에 대한 생각 (깊은 사색의 힘)
    • 보도자료 | 신문 기사

검색 레이어

비아토의 성장하는 삶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슈퍼 푸드, 브로콜리 어떤 영양소가 있을까?

    2021.03.12 by 비아토(viator2912)

  • [짜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 테스형이 니체에게

    2021.03.12 by 비아토(viator2912)

  • 나는 지혜로운 부모인가

    2021.03.12 by 비아토(viator2912)

  • 소금, 얼마나 섭취해야할까?

    2021.03.05 by 비아토(viator2912)

  • [언락] 내안의 가능성 열기

    2021.02.26 by 비아토(viator2912)

  • [마법의 돈 굴리기] 100세 시대, 금융문맹에서 탈출하자!

    2021.02.19 by 비아토(viator2912)

  • 나의 건강은 마이크로바이옴에 달려있다?

    2021.02.18 by 비아토(viator2912)

  • 글쓰기, 뇌 건강에 영향을 준다

    2021.02.16 by 비아토(viator2912)

슈퍼 푸드, 브로콜리 어떤 영양소가 있을까?

브로콜리에 있는 영양성분을 제대로 알고 내 몸 건강하게 만들기 브로콜리는 비타민, 미네랄, 섬유질과 항산화 물질 등의 영양소가 가득한 식품으로, 특히 감기 예방과 피부건강에 효과적인 좋은 먹거리로 알려져 있다. 샐러드, 수프, 스튜 등 서양음식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채소 중 하나로 근래에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웰빙푸드로 각광받으며 각종 요리에 사용되고 있다. 11월부터 4월까지가 제철이지만 요즘은 사철 구별 없이 먹을 수 있다. 브로콜리는 꽃이 피면 맛과 영양이 떨어지므로 꽃피기 전의 브로콜리를 골라 섭취하면 좋다. 줄기의 영양소도 높으므로 버리지 말고 먹도록 한다. 조리 시에는 소금물에 담가 송이 속의 먼지를 제거한 후 살짝 찌거나 생야채로 섭취할 수 있다. 브로콜리에는 비타민 C, 베타카로틴 등 항산화..

건강한 생활 습관 (몸도 튼튼, 마음도 튼튼) 2021. 3. 12. 18:49

[짜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 테스형이 니체에게

테스 형이 니체에게 이렇게 말했다. 네가 정말 원하고, 느끼고, 옳다고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가? 내면의 속삭임이 폭풍처럼 흔들릴 때까지 진지하게 마음속 깊이 우러나는 심연의 울림을 들어보자. 관습적인 삶이 아닌 진정으로 음미하는 삶을 살라고 했던 소크라테스, '삶의 길'이란 존재하지 않으니 낡은 습관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만들라고 했던 니체의 가르침에서 삶의 방식을 찾아보자. 니체의 를 다시한번 읽어보고, 오랜 고정관념을 깨부수고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자.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말을 통해 종교 자체를 거부하는 무신론적 주장을 펼치려고 했던 것이 아니다. 니체가 말하는 신은 절대적인 힘으로 우리를 억누르는 모든 것, 또는 우리가 맹목적으로 복종하는 그 모든 것의 이름인 것이다. '신은 죽..

삶의 지혜를 얻는 책 (영감의 샘) 2021. 3. 12. 11:44

나는 지혜로운 부모인가

나는 지혜로운 부모인가? 외고집 꼰대 성향의 부모인가? ​ 3월, 학생들이 신학기를 맞이한 지 어느덧 한 달이 넘어간다. 학교가 사막 같다는 아이들이 이제는 학교가 즐겁다고 할 정도로 한 달이라는 시간은 적응하기에 충분한 시간인가 보다. 새로운 시작은 누구에게나 낯섦에 마주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한 시점이다. 신학기가 시작될 무렵, 신학기에 대한 설렘과 동시에 두려움을 표현하는 아이에게 또는 표현조차 하지 않는 아이에게 새로움에 마주할수 있는 용기를 주지는 못할망정 단순하게 괜찮다고 간과하며 지나치지는 않았을까? 연구에 의하면 만 14세때 가족에게 어떻게 지지받았는지를 보면 만 17세 때의 친구들에게 어떻게 지지를 받을지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가족으로부터 아이는 사람들과 어떻게 교류하고 어떻게 지지해..

감동하는 일상 (울림을 주는 순간들) 2021. 3. 12. 11:12

소금, 얼마나 섭취해야할까?

소금에 대해 알고 건강한 몸만들기. 갑자기 몸이 붓고 피부염증이 생긴다면, 소금 과다 섭취를 의심해보자! 음식에서 가장 중요한 양념 중 하나인 소금이 왜 한국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식품이 되었을까? 올바른 식습관 중 하나로 자리 잡은 소금 섭취량 조절은 왜 필요한지 알아보자. 염화나트륨(NaCL)이라고도 불리는 소금이 우리 몸에서 하는일은 무엇일까? 소금은 우리 몸에 필요한 다량 무기질의 하나로 '체내 삼투압 조절을 통한 신체 평형유지, 신경자극 전달, 근육 수축, 영양소의 흡수와 운반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우리는 필요 이상으로 너무 많은 양의 소금을 섭취하고 있다. 세계 보건기구(WHO) 영양학회에서 권고하는 하루 소금 섭취 권장량은 5g 미만(1작은술)으로, 한국인 평균 섭취량 8.1g(1..

건강한 생활 습관 (몸도 튼튼, 마음도 튼튼) 2021. 3. 5. 16:50

[언락] 내안의 가능성 열기

언락(UNLOCK) / LIMITLESS MIND Learn, Lead, and Live without Barriers. 조 볼러 지음 / 이경식 옮김 / 다산북스 / 2020 ​ "당신의 가능성에 락(Lock)을 걸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지금 당장 가능성의 모든 락(Lock)을 풀어라! ​ 당신은 뇌가 고정되어 있다고 생각하는가?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해낼 수 있다는 믿음과 해낼 수 없다는 편견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엄청난 결과를 초래한다. ​ 많은 사람들이 재능이 있어야만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새로운 걸 시도하다가도 실수하면 금방 포기해버린다. "수학 머리가 없어", "문학적인 감성이 부족해", "예술적인 감각이 떨어져", "재능이 없어서 노력해도 안돼" "나는 이래서 안 돼, ..

삶의 지혜를 얻는 책 (영감의 샘) 2021. 2. 26. 16:56

[마법의 돈 굴리기] 100세 시대, 금융문맹에서 탈출하자!

"문맹은 생활을 불편하게 하지만 금융 문맹은 생존을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문맹보다 더 무섭다." 1987년 이래 네 번에 걸쳐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 의장을 역임하며 세계 경제를 호령했던 앨런 그린스펀이 한 말이다. 금융산업이 발전하면서 무수한 금융 상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우리는 그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이를 이용한 사행성 불법투기, 사금융 같은 금융 사기에 더 쉽게 노출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더군다나,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 앤 푸어스(S&P)사에서 세계 144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2016년에 발표한 자료를 보면 우리는 금융문맹이 많은 나라임이 틀림없다. ‘세계 금융이해력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의 금융 이해력이 우간다에 이어 77위이고, ‘금융..

삶의 지혜를 얻는 책 (영감의 샘) 2021. 2. 19. 18:01

나의 건강은 마이크로바이옴에 달려있다?

오래도록 젊음을 유지하고 건강하게 죽는 법 – The Longevity Paradox /스티븐 R. 건드리 지음 | 박선영 옮김 | 브론스테인 | 2019년 ​ ​나의 건강은 유전자가 아닌 마이크로바이옴에 달려있다? 최근 광고와 주식시장에서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라는 단어를 심심찮게 접할 수 있다. ​ '마이크로바이옴'이란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면 우리 몸속에 살고 있는 미생물 친구들이다. 100세시대를 살아가야 하는 지금, 오래도록 건강하게 살고 싶은가? 그렇다면 내 몸속 미생물 친구들을 잘 보살펴라. 노화 과정을 늦출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어 지식을 확장해가자. 책 제목에서 느껴지듯이 '오래도록 젊음을 유지하고 건강하게 사는 법'이 익숙할 테지만, 굳이 강렬하게 "죽는 법"이라고 명시한 ..

삶의 지혜를 얻는 책 (영감의 샘) 2021. 2. 18. 23:57

글쓰기, 뇌 건강에 영향을 준다

뇌 건강을 지키려면 글을 쓰자. 오래도록 질병없이 건강하려면 우리 몸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뇌 건강을 위한 글쓰기를 해보자. 간단한 메모도 좋고, 일기, 감상문도 좋다. 두뇌 훈련을 위해 매일 20분 글쓰기 습관을 들여보면 어떨까? 우리는 매일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는데, 뒤돌아서면 쉽게 잃어버리고는 기억의 저편을 더듬거리곤 한다. 책 읽기로 주입(IN PUT)만 할 뿐, 결과물을 내보내는(OUT PUT) 생산적인 활동이 제대로 되지 않은 탓이다. 이제부터는 뇌 운동을 위해 무언가를 읽으면 꼭 글을 쓰는 습관을 만들어보자. 한국학연구한국학 연구 학술저널의 '뇌과학에 기반한 창의적 글쓰기'에 따르면, 글쓰기는 창의성과 뇌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큰 도움을 준다(조성면 - 한국학 연구 제22집, 2010)고 ..

건강한 생활 습관 (몸도 튼튼, 마음도 튼튼) 2021. 2. 16. 01:3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3 34 35 36
다음
TISTORY
비아토의 성장하는 삶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